
2025.02.03
온라인을 통해 상품을 판매한다면 당연히 재고보관, 배송 관련된 과정을 처리해야한다.
이 물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는 비용과 리소스가 들어간다. 인건비와 공간 임대료 등이 비용으로 나가는데 이 과정에서 효율적인 처리가 되지 않을 경우 비용은 더 커지게 되고 배송 퀄리티는 더 낮아진다.
그렇기 때문에 물류를 처리하는 이런 전반적인 과정을 직접 하지 않고 대행사에 맡기게 되는데, 이때 이 대행사를 3PL또는 4PL이라고 부른다.
[1PL, 2PL, 3PL, 4PL의 개념 정리]
1PL이란 판매를 하고 있는 기업이 스스로 물류를 모두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2PL은 물류의 전반적인 과정 중, 배송이라는 과정을 진행해주는 업체를 이야기한다.
대한통운, 롯데택배와 같은 업체들이 2PL업체에 속한다.
3PL은 물류의 전반적인 과정을 모두 일임받아 진행하는 대행사로 재고관리, 배송, 입고, 보관과 같은 과정들을 전문적으로 진행해준다.
4PL은 물류의 모든 과정을 진행하면서 IT기술을 접목한 경우를 이야기 한다. WMS와 같은 툴을 이용하여 물류과정을 대행해 줄뿐만 아니라 그 과정을 기업에게 오차없이 전달하고 이로 인해 더욱 최적화된 시스템을 활용한다고 생각하면된다.
"그러면, 3PL업체 말고 4PL업체로 찾아야겠네?"
라고 생각한다면 결과적으로는 X 다. 물류대행을 해준다는 의미로써의 3PL이라는 단어가 보편화 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는 3PL업체들도 WMS, OMS를 모두 사용하고 CS와 같은 업무 대행도 똑같이 진행하고 있다. 다만 이런것이 서비스 품목에 들어가 있는지 아닌지만 확인하면 된다.
4PL업체를 찾는다는 개념으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많은 3PL업체를 찾아보면서 내가 필요한 서비스 항목을 대행해주는지에 대해서 확인하는 것이 맞다.
3PL업체들의 서비스 항목을 한번에 비교할 수 있는 방법
위에 적은것처럼 4PL업체를 찾고자 하는 니즈라면 원하는 서비스가 있을 것이다. 사용하고 싶은 WMS가 있거나 CS를 모두 대행해준다거나 하는 니즈를 3PL업체에 일일이 물어보고 견적서를 받아 내가 한달간에 나가는 물량과 보관하는 물량을 계산하여 최적화된 비용으로 진행해야 하는데, 실제로 진행해본 결과 매우 어렵다. 정말 최저가인 업체를 찾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3PL업체의 견적과 서비스 항목을 비교하기 어려운 이유는 단순하다. 3PL 4PL업체에서 발행해주는 견적서의 항목이 모두 제각각이고 다른 업체에는 없는 견적서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가 매우 많기 때문에 "견적비교"라는 개념 자체가 거의 불가하다. 택배비가 저렴해서 계약을 했더니 SKU관리비라는 내용으로 추가 금액을 받는다면 같은 항목만 보고 비교하는것이 의미가 없어진다.
이럴 때 필요한게 3PL업체 비교견적 서비스인데, 셀러나우의 비교견적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다.
1️⃣ 평균 1,000군데 이상 셀러들과 상담을 진행해본 물류 컨설턴트가 배정된다. 이 컨설턴트는 다양한 조건을 받고 세세한 부분까지 맞춰서 문제없이 이용할 수 있는 업체들을 찾아낸다.
2️⃣ 셀러나우에 등록된 수백군데 3PL업체의 견적 항목이 "표준화" 되어 있다. 견적을 쉽게 비교할 수 있으며 정확도가 매우 높다. 이 과정에서 의미없는 견적서 항목이 떨어져 나가기 때문에 단가도 더 저렴해진다.
3️⃣ 비교견적을 진행하게 되면 리포트를 발행받을 수 있는데 예상 물류비를 통해 가장 저렴한 업체를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서비스 항목도 쉽게 비교할 수 있다.
4️⃣ 실제로 연 2억 중반대를 절감한 사례가 다수 있다.
3PL 4PL의 차이점을 알아봤는데, 사실 물류대행을 찾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면 3PL업체들을 컨텍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물류대행으로의 3PL이라는 단어가 오랫동안 쓰인 만큼 IT관련 서비스가 추가되거나 다른 영역에서 도움을 주더라도 3PL이라는 명칭을 유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때문에 셀러라면 꼭 셀러나우에서 비교견적을 통해 찾아보는 것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