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02.17
네이버가 이커머스 시장의 변화에 맞춰 판매자 지원 정책을 개편한다. 기존의 온라인 창업 활성화 지원 프로그램은 종료되며, AI 역량 강화를 중심으로 한 ‘성장 마일리지’ 프로그램이 오는 7월부터 새롭게 시행될 예정이다. 이는 기존의 ‘스타트제로’ 수수료 감면 프로그램과 함께 판매자의 성장 단계에 따라 차별화된 혜택을 제공하는 정책이다.
성장 마일리지 프로그램이란?
이번에 도입되는 성장 마일리지 프로그램은 판매자들의 AI 활용 능력을 높이고 지속적인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이다. ‘새싹’ 및 ‘파워’ 등급을 대상으로 운영되며, 승급한 판매자에게 마일리지가 제공된다. 판매자들은 지급받은 성장 마일리지를 비즈머니 전환 후 검색 광고 활용, 마케팅·이벤트 운영, AI 마케팅, 데이터 분석, CRM 등의 커머스 솔루션 이용에 사용할 수 있다. 네이버는 향후에도 AI 기반의 판매자 지원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새싹 등급 승급 시: 30만 원 상당의 성장 마일리지 지급
파워 등급 승급 시: 100만 원 상당의 성장 마일리지 지급
최대 지원 한도: 새싹 등급과 파워 등급을 차례로 승급하면 최대 130만 원까지 제공
기존 ‘스타트제로 수수료’ 프로그램 6월 종료
현재 운영 중인 ‘스타트제로 수수료’와 ‘성장 지원 포인트’ 프로그램은 2025년 6월까지만 신청 가능하며, 7월부터는 성장 마일리지 프로그램으로 전환된다. 다만, 스타트제로 수수료 감면 혜택을 받은 판매자는 성장 마일리지 중복 신청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과거에 성장 지원 포인트를 받은 이력이 있다면 성장 마일리지 신청이 가능하다. 또한, 스타트제로 수수료 프로그램을 신청했으나 실질적인 금전적 수수료 감면 혜택을 받지 않은 경우에는, 새싹 등급 승급 시에 성장 마일리지를 신청할 수 있다.
Q. 스타트제로 수수료 신청 후 중도 취소 가능 여부는?
스타트제로 수수료 프로그램은 신청 후 중도 취소가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신중한 선택이 필요하다.
Q. 스타트제로 신청 이력이 있지만 수수료 감면 혜택을 받지 않은 경우는?
스타트제로 프로그램을 신청했으나 금전적인 수수료 감면 혜택을 받지 않았다면, 새싹 등급 승급 후 성장마일리지 신청이 가능하다.
Q. 스타트제로 신청 기한과 이후 대안
스타트제로 수수료 프로그램은 2025년 6월 30일까지 신청 가능하다. 이 기한을 넘긴 경우, 7월부터는 성장마일리지 프로그램을 신청할 수 있다.
Q. 성장 마일리지 vs. 스타트제로 수수료, 어떤 것이 유리할까?
판매자는 사업 상황에 따라 적합한 지원 프로그램을 선택해야 한다. 스타트제로 수수료는 창업 초기 판매 수수료 감면이 필요할 경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성장 마일리지일 경우에는 새싹/파워 등급 승급 후 쇼핑 광고 및 B2B 솔루션 지원이 필요할 경우 적합하다.
AI 기술을 기반으로한 새로운 전략
7월 이후에도 기존에 새싹·파워 등급을 달성한 판매자는 신청 가능하며, 신규 승급자뿐만 아니라 현재 새싹·파워 등급을 유지하고 있는 판매자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네이버 프로젝트 꽃 사무국 신지만 리더는 “이커머스 시장이 새로운 성장 국면을 맞이하면서 판매자들도 성장을 위한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며 “AI 기술을 기반으로 더 큰 성장 기회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네이버는 이번 프로그램 개편을 통해 판매자의 AI 역량 강화를 적극 지원하며, AI 기반 커머스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따라서 현재 네이버 판매자라면, 이번에 운영될 성장 마일리지 제도를 놓치지 말고 ‘겟’하길 바란다.